티스토리 뷰
번개가 치고 나서 천둥소리가 들리는 이유와 과학적 원리
번개는 구름과 지면, 혹은 구름과 구름 사이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방전 현상입니다. 이때 순간적으로 방출되는 빛과 열은 우리가 눈으로 보는 섬광을 만들어냅니다. 빛의 속도는 초당 약 30만 km로, 지구상에서는 사실상 즉시 눈에 들어오게 됩니다. 반면, 천둥소리는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음파이며, 평균 속도가 초속 약 340m에 불과합니다. 이 속도 차이 때문에 우리는 먼저 번쩍이는 번개를 보고, 그 후에 천둥소리를 듣게 됩니다.
간단히 계산하면, 번개를 본 후 3초 뒤에 천둥이 들렸다면 번개가 친 지점은 약 1km 떨어져 있는 것입니다(소리 속도 × 시간). 이 방법은 야외에서 낙뢰 위험 거리를 가늠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번개와 천둥의 시간차가 3초 이하라면 매우 위험한 상황이므로, 즉시 안전한 실내로 대피해야 합니다.
천둥의 발생 원리는 번개가 주변 공기를 약 3만°C 이상으로 급격히 가열하면서 시작됩니다. 뜨거워진 공기가 순간적으로 팽창하고, 다시 식으면서 압력 변화가 발생해 강력한 충격파가 생기는데, 이것이 귀에 들리는 ‘쾅’ 하는 소리입니다. 또한 지형이나 날씨 조건에 따라 천둥소리는 메아리처럼 울리거나 길게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음파의 반사 현상 때문입니다.
결국, 번개와 천둥은 같은 자연 현상의 빛과 소리라는 서로 다른 형태이며, 속도의 차이가 우리에게 그 시간차를 선물합니다. 이를 이해하면 번개가 칠 때 단순히 놀라는 것이 아니라, 자연이 들려주는 거리 계산법을 읽어낼 수 있습니다.
'정보 > 생활 속 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엔진 소리의 차이, 가솔린 vs 디젤 (0) | 2025.08.21 |
---|---|
지하철이 터널 진입 시 쓱~ 소리의 이유 (0) | 2025.08.19 |
여름철 매미 울음소리의 진동 구조 (2) | 2025.08.15 |
나무 잎사귀와 바람의 주파수, 자연이 만드는 음악 (2) | 2025.08.14 |
해변 파도 소리가 편안하게 들리는 이유 (2) | 2025.08.14 |
빗방울이 창문에 부딪힐 때 들리는 소리 (5) | 2025.08.14 |
에어컨 바람 소리의 공기역학 (4) | 2025.08.13 |
형광등에서 지지직 소리가 나는 이유 (1) | 2025.08.13 |